모꿈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모꿈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ROOT
  • 분류 전체보기 (196)
    • 장난감 (10)
      • FlashGame (3)
    • 유아용품 (0)
    • 경제 (1)
    • Study (49)
      • Python (4)
      • PHP (0)
      • Tips (26)
      • ShellScript (2)
      • GIT (16)
    • 링크모음 (1)
    • 메모장 (33)
    • 책 (2)
      • 동화 (1)
      • IT (1)
    • 건강 (10)
    • 보험 (0)
    • 생활정보 (34)
    • 여행 / 사진 (2)
    • 영화 (6)
    • 웃어요 (28)
    • 자동차 (1)
    • Phone (11)
    • Wine (4)
    • 음악 (2)

검색 레이어

모꿈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Study/GIT

  • android repo 명령어 down 받는 방법 및 source sync 방법

    2013.01.26 by 휀스

  • Gitolite 두개의 pub key 사용하기

    2013.01.02 by 휀스

  • repo 명령어 (command) 설명 init sync diff prune forall upload download start status

    2012.12.12 by 휀스

  • git detached HEAD 상태로 커밋이 사라지는 경우

    2012.12.09 by 휀스

  • git rebase / git merge 차이점과 사용시기

    2012.12.01 by 휀스

  • git rebase 명령어 중 유용한 옵션 option --onto

    2012.11.30 by 휀스

  • git reset 명령어와 옵션

    2012.11.22 by 휀스

  • git 의 branch 와 tag 그리고 head 의 이해

    2012.11.17 by 휀스

android repo 명령어 down 받는 방법 및 source sync 방법

android repo 명령어 down 받는 방법 및 source sync 방법 repo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epo script 를 다운받아야 합니다. bin folder 를 만들고 Path 설정을 하여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도록 합니다. $ mkdir ~/bin$ PATH=~/bin:$PATH 그리고 repo 명령어를 download 받습니다.script 를 실행 가능하도록 chmod 에 +x 옵션을 주어 속성을 변경해 줍니다. $ curl https://dl-ssl.google.com/dl/googlesource/git-repo/repo > ~/bin/repo$ chmod a+x ~/bin/repo 이제 repo 명령어를 사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사용할 folder 를 만들어 주고 $ mkd..

Study/GIT 2013. 1. 26. 00:08

Gitolite 두개의 pub key 사용하기

Gitolite 두개의 pub key 사용하기 gitolite 사용시 한명의 사용자가 2개의 machine 에서 로그인이 필요할 경우가 있습니다.user id 가 다르다면 문제 없겠지만 같을 경우 두개의 pub key 의 이름이 같아 gitolite 에 추가가 불가능합니다. 이때는 pub key 의 file name 을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keys folder 에 저장하고 userid@pc1.pub userid@pc2.pub gitolite.conf 파일에서는 userid 의 permission 을 추가해 주면 됩니다. RW+ = userid client 에서는 한개의 key 를 사용할 때와 달라지는 점이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관련글 : Gitolite 에서 git push 되지 않을때Gitolit..

Study/GIT 2013. 1. 2. 10:49

repo 명령어 (command) 설명 init sync diff prune forall upload download start status

repo 명령어 (command) 설명 init sync diff prune forall upload download start status Repo 명령어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실행한다. $ repo COMMAND OPTIONS $ repo help COMMAND 명령으로 각 명령의 도움말을 볼 수 있다. 각 명령어들은 project list 를 인자로 받을 수 있다. $ repo sync PROJECT0 PROJECT1 ... PROJECTN INIT $ repo init -u URL [OPTIONS] 현재 directory 에 .repo directory 를 생성하고 그 안에 URL 로 부터 다운받은 manifest.xml 을 두고 이 파일이 실제 .repo/manifests/ directory ..

Study/GIT 2012. 12. 12. 11:59

git detached HEAD 상태로 커밋이 사라지는 경우

git detached HEAD 상태 (git 수정 내용이 없어지게 되는 경우) git garbage collection process 에 의해 수정내용이 사라지게 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현재상태가 아래의 그림과 같다면 HEAD (refers to branch 'master') | v a---b---c branch 'master' (refers to commit 'c') ^ | tag 'v2.0' (refers to commit 'b') 파일 내용을 edit 후 $ git add $ git commit 을 하면 아래와 같이 커밋이 생긴다. HEAD (refers to branch 'master') | v a---b---c---d branch 'master' (refers to commit 'd') ^..

Study/GIT 2012. 12. 9. 22:57

git rebase / git merge 차이점과 사용시기

git rebase / git merge 차이점과 사용시기 git merge 와 git rebase 는 각각 언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일까요? 본인의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 rebase : 현재 branch 의 base 가 되는 지점부터의 history 를 모두 다른 branch 로 옮김.- merge : merge 할 branch 의 수정 내용만 내 branch 로 옮김. 대충 그린 그림이지만 그림을 보시죠. ^^ a'' 에서 a -> b 사이의 수정 내용이 필요할 때 a'' 위치에서 $ git rebase b 라고 실행하면 결과물은 ba'' 가 나오고, 이때 a에서 a'로 가는 commit 화살표는 사라져 버립니다.a -> a' -> a'' commit history 가 b -> a'..

Study/GIT 2012. 12. 1. 11:00

git rebase 명령어 중 유용한 옵션 option --onto

git rebase 명령어 중 유용한 옵션 --onto $ git rebase branchA 명령은 현재 Branch 의 분기점을 branchA 의 HEAD 로 옮긴다는 뜻이다. d 가 c 앞에 붙어 d' 가 된다. 그럼 onto 옵션을 주면? --onto $ git rebase --onto branchA branchB branchC branchC 의 history 중 branchB 부터 branchA 의 HEAD 로 옮긴다는 뜻이다. $ git rebase --onto c d f라고 했다면 아래와 같이 rebase 된다. git rebase --help 에 유용한 정보가 많다. help 를 많이 봐야겠다. 알고나면 한줄 모르면 캐고생....

Study/GIT 2012. 11. 30. 00:57

git reset 명령어와 옵션

git reset 명령어와 옵션을 알아보자. git reset 명령어는 git 을 특정 commit 상태로 돌려놓는 명령어이다. git reset 의 옵션을 알아보며 사용법에 대해 살펴보자. $ git reset -q aCommit pathA pathB pathC aCommit 의 상태로 나열된 모든 path의 git 을 돌려놓는 것이다. -q : Error 가 있을 경우에만 로그를 보여준다. $ git reset -q --hard aCommit reset 을 할 경우 기존의 수정사항이 있을때 적용하는 옵션이다. --hard : 수정사항을 모두 무시하고 aCommit 상태로 돌려놓는다. --soft : 수정사항을 모두 유지하고 commit 하기 전의 상태로 남겨둔다. 단지 HEAD 만 aCommit 으로..

Study/GIT 2012. 11. 22. 09:54

git 의 branch 와 tag 그리고 head 의 이해

git 의 branch 와 tag 그리고 head 의 이해 git 사용중 branch 를 만들고 tag 를 긋고 head 를 이동한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 그런데 git checkout 명령어는 git checkout some-branch git checkout some-tag 둘다 동작을 한다. 책을 읽어보면 branch 나 tag 나 HEAD 파일의 정보를 수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 사람이 있다. 나같은... 난 처음엔 특정 branch 에 tag를 긋고 tag 로 이동하면 해당 branch로 갈 수 있을것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아니네... ^^ 그래서 여기다 정리를 한다. 정리를 해놔야 확실히 내것이 되니까. ^^ branch 는 말 그대로 가지를 뻗어나간다고 생..

Study/GIT 2012. 11. 17. 15: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모꿈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